4주차 과제: 제어문
목표
자바가 제공하는 제어문을 학습하세요.
학습할 것
- 선택문
- 반복문
선택문
Java에서 코드는 위에서 아래로 쭉 읽고 실행됩니다. 모든 일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문제가 없지만, 어떤 코드는 반복을 해야하고 어떤 코드는 건너뛰어야 하는 등의 순서를 변경해야 되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럴 때, 제어문을 사용하여 코드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어문은 선택문(if-else, switch)과 반복문(for, while, do-while), 분기문(break, continue, return)으로 나뉩니다.
if-else
if-else문은 가장 기본적인 제어문 중 하나로 조건이 만족할 시에 지정한 if()
블록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시킵니다. 만약 만족하지 못할시에는 else
블록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시킵니다.
문법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경우
//logic
} else { //조건식이 거짓일 경우
//logic
}
예제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isCheck = true;
if (isCheck) {
System.out.println("중복체크되었습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중복체크를 해주세요.");
}
}
}
여기서 여러 조건을 달고 싶다면 else if
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
문이 거짓이면 다음 else if
문을 수행하고 그런식으로 진행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else
문은 위의 if
문들이 모두 거짓일 때 수행됩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78;
if (score >= 60 && score < 70) {
System.out.println("D학점");
} else if (score >= 70 && score < 80) {
System.out.println("C학점");
} else if (score >= 80 && score < 90) {
System.out.println("B학점");
} else {
System.out.println("A학점");
}
}
}
만약 위 코드처럼 수많은 조건들이 있을다면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else if
문으로 도배되는 코드는 그리 좋은 코드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if
문을 좀 더 깔끔하게 쓸 수 있는 switch
문이 있습니다. 바로 예제를 보죠.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70;
switch (score) {
case 60:
System.out.println("D학점");
break;
case 70:
System.out.println("C학점");
break;
case 80:
System.out.println("B학점");
break;
case 90:
System.out.println("A학점");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10단위로 입력해주세요.");
}
}
}
switch 괄호안에 해당 변수를 넣어주고, 각 case 마다 맞으면 로직을 수행합니다. 이 때 주의할 점은 반드시 각 case마다 break
문을 써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쓰지 않으면 switch
문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계속 다음 case 로직이 수행됩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70;
switch (score) {
case 60:
System.out.println("D학점");
case 70:
System.out.println("C학점");
case 80:
System.out.println("B학점");
case 90:
System.out.println("A학점");
default:
System.out.println("10단위로 입력해주세요.");
}
}
}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 한번 코드를 직접 따라해보세요! 참고로 마지막 default에는 break문을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유는 어차피 위의 case문이 다 맞지 않으니 마지막 default가 수행되기 때문에 굳이 break가 필요가 없는 것이죠. 하지만 else if
와 switch
코드를 보면 else if
에는 부등호가 들어가는데 switch
에는 부등호가 없습니다. 그래서 switch
case문에는 부등호를 쓸 수는 없습니다.
반복문
반복문이란 똑같은 명령을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문입니다. 이 반복문은 정말 많이 사용됩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um = 0;
for (int i = 1; i < 11; i++) {
sum += i;
}
System.out.println(sum);
}
}
먼저 for
문을 이용한 반복문입니다.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모두 더한 값이 출력이 되는 코드입니다. 이처럼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으면 한 줄 한 줄마다 더하는 로직을 작성해주어야 하는데 이렇게 반복문을 사용하면 굉장히 편리하죠. 마찬가지로 while
문과 do-while
문을 코드를 보겠습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um = 0;
int i = 1;
while (i < 11) {
sum += i;
i++;
}
System.out.println(sum);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um = 0;
int i = 1;
do {
sum += i;
i++;
} while (i < 11);
System.out.println(sum);
}
}
여기서 while
문과 do-while
문의 차이는 do-while
문은 조건에 맞든 안맞든 먼저 1회는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while
문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분기문
우리가 반복문을 사용할 때 이 분기문을 써야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의 숫자중 짝수만 가져오고 싶다던가. 반복문을 수행하다가 일정 숫자가 되면 반복문을 빠져나오게 하고 싶다던가. 여기서 break
와 continue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reak
break
문은 반복문을 아에 빠져나오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제를 보도록 하죠.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reeCnt = 1;
while (treeCnt > 0) {
System.out.println("나무" + treeCnt + "그루를 얻었습니다.");
if (treeCnt == 10) break;
treeCnt++;
}
}
}
위 코드를 보면 treeCnt
는 항상 0보다 크므로 계속 true가 됩니다. 그러면 무한 루프에 빠지게 되어 결국 스택오버플로우 현상이 발생하게 되죠. 이것을 방지하려면 무한 루프에서 빠져나와야 하는데 treeCnt
가 10일 때 조건을 줘서 빠져나오게 하는 것입니다.
continue
break
문은 반복문을 완전히 빠져나오는 거라면 continue
는 반복문 중에서 한 단계만 건너뛰는 것을 말합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 (int i = 1; i < 11; i++) {
if (i % 2 == 0) continue;
System.out.println(i);
}
}
}
1부터 10까지 반복문을 수행하는데 i
를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일 경우에만 continue
해서 건너뛰는 것입니다. 이러면 짝수 숫자들은 건너뛰고 홀수 숫자만 남게 되겠죠. 둘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고 쓰면 좋습니다.
JUnit5
JUnit이란 Java의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는 도구를 말합니다. 그럼 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하는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 개발단계 초기에 문제를 발견하게 도와줍니다.
- 개발자가 나중에 코드를 리팩토링하거나 라이브러리 업그레이드 등에서 기존 기능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능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단위 테스트 자체가 문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다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요청 결과값을 확인하고 다시 코드를 수정하면 재실행하고 이런 것들이 나중에는 시간을 잡아먹습니다. 그래서 테스트 코드를 탄탄하게 짜면 좀 더 견고한 어플리케이션이 된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JUnit5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JUnit5 = JUnit Platform + JUnit Jupiter + JUnit Vintage
JUnit Platform은 JVM에서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시작하기 위한 기반 역할을 합니다.
JUnit Jupiter는 JUnit5에서 테스트 및 확장을 작성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그래밍 모델과 확장 모델의 조합입니다.
JUnit Vingtage는 플랫폼에서 JUnit3 및 JUnit4 기반 테스트를 실행하기 위한 TestEngine을 제공합니다.
간단하게 비교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테스트 개발환경은 Spring Boot + Maven 입니다. (Spring Boot 환경이기 때문에 따로 테스트 라이브러리를 추가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est</artifactId>
<scope>test</scope>
</dependency>
Person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firstName;
private String lastName;
public Person(String firstName, String lastName) {
this.firstName = firstName;
this.lastName = lastName;
}
public String getFirstName() {
return firstName;
}
public String getLastName() {
return lastName;
}
}
Calculator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
public class Calculator {
public int add(int x, int y) {
return x + y;
}
public int multiply(int x, int y) {
return x * y;
}
}
MainTest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Equals;
public class MainTest {
private final Calculator calculator = new Calculator();
private final Person person = new Person("Jane", "Doe");
@Test
@DisplayName("calculator 메소드 검증")
void standardAssertions() {
assertEquals(2, calculator.add(1, 1));
assertEquals(4, calculator.multiply(2, 2));
}
@Test
@DisplayName("person 메소드 검증")
void standardAssertions2() {
assertThat(person.getFirstName()).isEqualTo("Jane");
assertThat(person.getLastName()).isEqualTo("Doe");
}
}
- 첫 번째 테스트는
junit
을 이용했습니다. 간단하게 두 값을 비교 검증하는 코드입니다. - 두 번째 테스트는
assertj
를 이용했습니다. 역시 두 값을 서로 비교 검증하는 코드입니다.
사실 더 복잡한 테스트 코드가 있지만 일단 예제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지금은 대충 어떻게 사용한다는 점만 알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무에서는 junit
보다는 assertj
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junit
은 Matchers를 통해 검증을 진행하는데 검증 메소드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자동 완성 에러)
그에 비해 assertj
은 자동 완성이 잘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https://www.youtube.com/watch?v=zLx_fI24UXM 이 영상을 꼭보세요!
live-study 대시보드 만들기
코드를 구현하는데 사실 남의 코드를 보며 따라쳤습니다.. 아직 스스로 이 API를 보고 적용해서 출력해내기까지가 쉽지 않네요 ㅠ.ㅠ
import org.kohsuke.github.*;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GitHubApplication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MY_PERSONAL_TOKEN = "TOKE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Personal access token 연결
GitHub gitHub = new GitHubBuilder().withOAuthToken(MY_PERSONAL_TOKEN).build();
//Repository 연결
GHRepository repository = gitHub.getRepository("whiteship/live-study");
//IssueState
List<GHIssue> issues = repository.getIssues(GHIssueState.ALL);
Map<String, Integer> participant = new HashMap<>();
//1-18개 이슈
for (GHIssue issue : issues) {
Set<String> onlyOneParticipant = new HashSet<>();
//댓글 한 개 이상인 경우 유저이름 중복 제거
for (GHIssueComment comment : issue.getComments()) {
onlyOneParticipant.add(comment.getUser().getName());
}
//카운트증가
for (String name : onlyOneParticipant) {
if (participant.containsKey(name)) {
participant.replace(name, participant.get(name) + 1);
continue;
}
participant.put(name, 1);
}
//참여율 출력
for (String name : participant.keySet()) {
double rate = (double) (participant.get(name) * 100) / issues.size();
System.out.println(String.format("%.2f", rate) + "%");
}
}
}
}
LinkedList 구현
LinkedList(연결리스트)는 List를 구체화한 클래스입니다.
LinkedList는 각각의 노드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노드마다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에 삽입하거나 삭제하기가 수월합니다. 하지만 ArrayList처럼 Index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조회할 때는 처음부터 찾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좀 더 빠르게 조회할 수 있도록 나온 것이 Doubly Linked List입니다. 하지만 역시 이것도 ArrayList보다는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음 코드는 생활코딩 강의를 보면서 구현하였습니다.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
public class LinkedList {
private Node head; //첫번째 노드
private Node tail; //마지막 노드
private int size = 0;
private class Node {
private Object data;
private Node next;
public Node(Object data) {
this.data = data;
this.next = null;
}
}
public void addFirst(Object data) {
Node node = new Node(data);
node.next = head;
head = node;
size++;
if (head.next == null) {
tail = head;
}
}
public void addLast(Object data) {
Node node = new Node(data);
if (size == 0) {
addFirst(data);
} else {
tail.next = node;
tail = node;
size++;
}
}
Node node(int index) {
Node x = head;
for (int i = 0; i < index; i++) {
x = x.next;
}
return x;
}
public void add(int k, Object data) {
if (k == 0) {
addFirst(data);
} else {
Node temp1 = node(k - 1);
Node temp2 = temp1.next;
Node node = new Node(data);
temp1.next = node;
node.next = temp2;
size++;
if (node.next == null) {
tail = node;
}
}
}
public String toString() {
if (head == null) {
return "[]";
}
Node temp = head;
String str = "[";
while (temp.next != null) {
str += temp.data + ", ";
temp = temp.next;
}
str += temp.data;
return str + "]";
}
public Object removeFirst() {
Node temp = head;
head = head.next;
Object returnDate = temp.data;
temp = null;
size--;
return returnDate;
}
public Object remove(int k) {
if (k == 0) {
return removeFirst();
}
Node temp = node(k - 1);
Node deleteNode = temp.next;
temp.next = temp.next.next;
Object returnDate = deleteNode.data;
if (deleteNode == tail) {
tail = temp;
}
deleteNode = null;
size--;
return returnDate;
}
public Object removeLast() {
return remove(size - 1);
}
public int size() {
return size;
}
public Object get(int k) {
Node temp = node(k);
return temp.data;
}
public int indexOf(Object data) {
Node temp = head;
int index = 0;
while (temp.data != data) {
temp = temp.next;
index++;
if (temp == null) {
return -1;
}
}
return index;
}
public boolean contains(Object data) {
Node temp = head;
while (temp.next != null) {
if (temp.data == data) {
return true;
}
temp = temp.next;
}
return false;
}
}
테스트 코드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class LinkedListTest {
@Test
@DisplayName("LinkedList addFirstTest")
void addFirst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System.out.println(node); //[10, 20, 30]
assertThat(node.get(0)).isEqualTo(10);
}
@Test
@DisplayName("LinkedList addLastTest")
void addLast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Last(10);
node.addLast(20);
node.addLast(30);
System.out.println(node); //[10, 20, 30]
assertThat(node.get(2)).isEqualTo(30);
}
@Test
@DisplayName("LinkedList addTest")
void add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node.add(2, 25);
System.out.println(node); //[10, 20, 25, 30]
assertThat(node.get(2)).isEqualTo(25);
}
@Test
@DisplayName("LinkedList removeFirstTest")
void removeFirst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node.removeFirst();
System.out.println(node); //[20, 30]
assertThat(node.removeFirst()).isEqualTo(20);
}
@Test
@DisplayName("LinkedList removeTest")
void remove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node.remove(1);
System.out.println(node); //[10, 30]
assertThat(node.remove(0)).isEqualTo(10);
}
@Test
@DisplayName("LinkedList removeLastTest")
void removeLast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node.removeLast();
System.out.println(node); //[10, 20]
assertThat(node.removeLast()).isEqualTo(20);
}
@Test
@DisplayName("LinkedList sizeTest")
void size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assertThat(node.size()).isEqualTo(3);
}
@Test
@DisplayName("LinkedList getTest")
void get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assertThat(node.get(2)).isEqualTo(30);
}
@Test
@DisplayName("LinkedList indexOfTest")
void indexOf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assertThat(node.indexOf(20)).isEqualTo(1);
assertThat(node.indexOf(40)).isEqualTo(-1);
}
@Test
@DisplayName("LinkedList containsTest")
void containsTest() {
LinkedList node = new LinkedList();
node.addFirst(30);
node.addFirst(20);
node.addFirst(10);
assertThat(node.contains(10)).isEqualTo(true);
assertThat(node.contains(40)).isEqualTo(false);
}
}
Stack 구현
Stack(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옵니다. 아래 코드는 배열로 Stack을 구현한 코드입니다.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study;
import lombok.Getter;
@Getter
public class Stack {
private int top;
private int size;
private int[] stackArr;
//스택 클래스 초기화
public Stack(int size) {
this.top = -1;
this.size = size;
this.stackArr = new int[this.size];
}
public boolean isEmpty() {
return top == -1;
}
public void push(int data) {
stackArr[++top] = data;
}
public int pop() {
return stackArr[top--];
}
public int peek() {
return stackArr[top];
}
}
테스트 코드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study;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class StackTest {
@Test
@DisplayName("Stack isEmptyTest")
void isEmptyTest() {
Stack stack = new Stack(3);
assertThat(stack.isEmpty()).isEqualTo(true);
}
@Test
@DisplayName("Stack pushTest")
void pushTest() {
Stack stack = new Stack(3);
stack.push(1);
stack.push(2);
stack.push(3);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stack.getStackArr()));
}
@Test
@DisplayName("Stack popTest")
void popTest() {
Stack stack = new Stack(3);
stack.push(1);
stack.push(2);
stack.push(3);
assertThat(stack.pop()).isEqualTo(3);
assertThat(stack.pop()).isEqualTo(2);
assertThat(stack.pop()).isEqualTo(1);
}
@Test
@DisplayName("Stack peekTest")
void peekTest() {
Stack stack = new Stack(3);
stack.push(1);
stack.push(2);
stack.push(3);
assertThat(stack.peek()).isEqualTo(3);
}
}
다음은 Node
를 이용한 Stack 구현입니다.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study;
import lombok.Getter;
@Getter
public class Stack {
class ListNodeStack {
private int data;
private ListNodeStack next;
public ListNodeStack(int data) {
this.data = data;
}
}
private ListNodeStack top;
public int pop() {
int item = top.data;
top = top.next;
return item;
}
public void push(int item) {
ListNodeStack node = new ListNodeStack(item);
node.next = top;
top = node;
}
public int peek() {
return top.data;
}
public boolean isEmpty() {
return top == null;
}
}
테스트 코드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study;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class StackTest {
@Test
@DisplayName("Stack isEmptyTest")
void isEmptyTest() {
Stack stack = new Stack();
assertThat(stack.isEmpty()).isEqualTo(true);
}
@Test
@DisplayName("Stack pushTest")
void pushTest() {
Stack stack = new Stack();
stack.push(1);
stack.push(2);
stack.push(3);
}
@Test
@DisplayName("Stack popTest")
void popTest() {
Stack stack = new Stack();
stack.push(1);
stack.push(2);
stack.push(3);
assertThat(stack.pop()).isEqualTo(3);
assertThat(stack.pop()).isEqualTo(2);
assertThat(stack.pop()).isEqualTo(1);
}
@Test
@DisplayName("Stack peekTest")
void peekTest() {
Stack stack = new Stack();
stack.push(1);
stack.push(2);
stack.push(3);
assertThat(stack.peek()).isEqualTo(3);
}
}
Queue를 구현
Queue(큐)는 FIFO(First In First Out), 가장 먼저 들어온 것이 가장 먼저 나옵니다. 아래 코드는 배열로 Queue를 구현한 코드입니다.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study;
import lombok.Getter;
@Getter
public class Queue {
private int front;
private int rear;
private int size;
private int[] queueArr;
public Queue(int size) {
front = -1;
rear = -1;
this.size = size;
queueArr = new int[this.size];
}
public void enqueue(int data) {
queueArr[++rear] = data;
}
public int dequeue() {
front = (front + 1) % this.size;
return queueArr[front];
}
}
테스트 코드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study;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class QueueTest {
@Test
@DisplayName("Queue enqueueTest")
void enqueueTest() {
Queue queue = new Queue(5);
queue.enqueue(1);
queue.enqueue(2);
queue.enqueue(3);
queue.enqueue(4);
queue.enqueue(5);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queue.getQueueArr()));
}
@Test
@DisplayName("Queue dequeueTest")
void dequeueTest() {
Queue queue = new Queue(5);
queue.enqueue(1);
queue.enqueue(2);
queue.enqueue(3);
queue.enqueue(4);
queue.enqueue(5);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1);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2);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3);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4);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5);
}
}
다음은 Node
를 이용한 Queue
구현입니다.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study;
import lombok.Getter;
@Getter
public class Queue {
class ListNodeQueue {
private int data;
private ListNodeQueue next;
public ListNodeQueue(int data) {
this.data = data;
}
}
private ListNodeQueue first;
private ListNodeQueue last;
public void enqueue(int item) {
ListNodeQueue node = new ListNodeQueue(item);
if (last != null) {
last.next = node;
}
last = node;
if (first == null) {
first = last;
}
}
public int dequeue() {
int data = first.data;
first = first.next;
if (first == null) {
last = null;
}
return data;
}
}
테스트 코드
package com.azurealstn.sociallogin.study;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class QueueTest {
@Test
@DisplayName("Queue enqueueTest")
void enqueueTest() {
Queue queue = new Queue();
queue.enqueue(1);
queue.enqueue(2);
queue.enqueue(3);
queue.enqueue(4);
queue.enqueue(5);
}
@Test
@DisplayName("Queue dequeueTest")
void dequeueTest() {
Queue queue = new Queue();
queue.enqueue(1);
queue.enqueue(2);
queue.enqueue(3);
queue.enqueue(4);
queue.enqueue(5);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1);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2);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3);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4);
assertThat(queue.dequeue()).isEqualTo(5);
}
}
References
- https://juntcom.tistory.com/118
- http://tcpschool.com/java/java_control_loop
-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 https://junit.org/junit5/docs/current/user-guide/#writing-tests-assertions
- https://www.notion.so/Live-Study-4-ca77be1de7674a73b473bf92abc4226a
- https://freestrokes.tistory.com/82
- https://freestrokes.tistory.com/83
- https://www.youtube.com/watch?v=whVUYv0Leg0
- https://www.youtube.com/watch?v=W3jNbNGyjMs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라이브 스터디] 06. 상속 (0) | 2021.10.12 |
---|---|
[자바 라이브 스터디] 05. 클래스 (0) | 2021.09.24 |
[자바 라이브 스터디] 03. 연산자 (0) | 2021.09.16 |
[자바 라이브 스터디] 02. 자바 데이터 타입, 변수와 배열 (0) | 2021.09.16 |
[자바 라이브 스터디] 01. JVM과 자바 코드 (0) | 2021.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