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은 도로 교통망 같은 곳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그래프에서 꼭짓점 간의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또한 특정한 하나의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가는 최단 경로를 찾는다.
아래의 경우 다익스트라를 활용한다.
- 한 정점에서 다른 한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
- 한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
- 모든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
여기서 각 정점은 노드로 표현하고, 정점 간 연결된 선은 간선으로 표현한다. 참고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가중치 방향그래프에서 활용될 수 있고, 가중치의 값은 절대로 음수값이 나올 수 없다. 또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매번 최단 경로 찾는 즉, 최적의 해를 찾는 과정을 거쳐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분류된다.
동작 과정
- 출발 노드를 설정한다.
- 최단 거리 테이블을 초기화한다.
-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한다. -> 여기서 기본적으로 그리디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해당 노드를 거쳐 다른 노드로 가는 비용을 계산하여 최단 거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 3번과 4번 과정을 반복한다.
먼저 위와 같은 가중치 방향그래프가 있을 때 한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구해볼 것이다. 출발 노드는 1
번 노드로 설정하고, 최단 거리 테이블은 배열 형태로 int
형의 MAX 값으로 초기화해주었다. 그리고 배열의 인덱스는 노드의 번호로 나타낸다.
1
번 노드부터 출발하므로 dis 배열의 1번 인덱스에 0으로 변경한다. 변경 후 dis 배열을 O(N)
으로 쭈욱 탐색해서 최솟값을 찾는다. (최솟값은 최단 경로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1번 노드의 값인 0이 가장 작으므로 1번 인덱스에 방문했다고 체크해준다.
다음으로 1번 노드에서 갈 수 있는 노드는 3번 노드이며, 가중치의 값인 4는 3번 인덱스의 값인 M(Max)보다 작으므로 스왑(swap)해준다. dis 배열을 O(N)
으로 쭈욱 탐색해서 최솟값을 찾는다. 이번에는 3번 노드가 가장 작으므로 3번 인덱스에 방문했다고 체크해준다. (한번 방문한 노드는 또 방문하지 않는다.)
참고로 여기서 방문했다고 체크해준 노드들은 확정이 된 노드들이다. 즉, 해당 정점으로 가는 최단 거리(최적의 해)가 구해진 것이다.
다음으로 3번 노드에서 갈 수 있는 노드는 4번 노드이며, 1번 노드에서 4번 노드까지의 거리는 4 + 5 = 9
가 된다. 따라서 4번 인덱스값인 M(Max)보다 작으므로 9를 할당한다. 그리고 dis 배열을 탐색해서 최솟값이 9가 되므로 방문 체크해준다.
현재까지는 1번, 3번, 4번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한 셈이다.
다음으로 4번 노드에서 갈 수 있는 2번 노드까지의 거리는 9 + 2 = 11
이고, dis 배열의 값을 갱신한다. 또 4번 노드에서 갈 수 있는 6번 노드까지의 거리는 9 + 11 = 20
이므로 dis 배열의 값을 갱신한다. 갱신을 모두 완료했으면 다시 dis 배열을 탐색해서 최소값을 구한다. 이번에는 2번 인덱스가 가장 작으므로 방문 체크한다.
다음으로 2번 노드에서 갈 수 있는 노드는 1번 노드와 5번 노드가 있는데 1번 노드는 이미 방문했으므로 넘어가고, 5번 노드를 갱신한다. 11 + 6 = 17
로 갱신하면 되겠다. 그리고 방문 체크해준다.
마지막으로 5번 노드에서 갈 수 있는 노드는 6번 노드가 있고, 17 + 3 = 20
이므로 갱신하지 않는다. 기존 dis 배열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만 갱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대로 두고, 방문 체크해준다.
지금까지 1번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구했다.
하지만 위 방식은 정점의 개수가 N개 있을 때 dis 배열을 N번 돌아야 하므로 시간복잡도가 O(N^2)
이 걸린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PriorityQueue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O(N logN)
으로 시간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dis 배열에서 탐색할 때 PriorityQueue를 이용하게 O(log N)
으로 최솟값을 찾으면 훨씬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코드보기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Edge implements Comparable<Edge> {
int vex; // 정점 (노드)
int cost; // 비용 (가중치)
public Edge(int vex, int cost) {
this.vex = vex;
this.cost = cost;
}
// 최소값을 꺼내기 위해 오름차순 정렬한다.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Edge o) {
return cost - o.cost;
}
}
public class Main {
// n: 정점의 개수
// m: 방향 그래프를 나타내는 개수
static int n, m;
static ArrayList<ArrayList<Edge>> graph; // 가중치 방향 그래프
static int[] dis; // 최단거리 dis 배열
private static void solution(int v) {
// 최소값을 꺼내기 위해 우선순위 큐 자료구조 사용
PriorityQueue<Edge> pQ = new PriorityQueue<>();
// 가장 먼저 1번 정점의 우선순위 큐에 넣는다.
pQ.offer(new Edge(v, 0));
// dis 배열의 1번 인덱스 0으로 변경
dis[v] = 0;
while (!pQ.isEmpty()) {
// 우선순위 큐에 의해 가장 작은 비용이 빠져나온다.
Edge cur = pQ.poll();
int cv = cur.vex; // 현재 정점
int cc = cur.cost; // 현재 비용
// 현재 비용(거리)이 dis 배열에 있는 값보다 크면 그냥 넘어간다.
// 이 경우는 최적의 해가 아니기 때문에 넘어가는 것이다.
if (cc > dis[cv]) continue;
// 현재 정점에서 갈 수 있는 노드들 반복
for (Edge o : graph.get(cv)) {
// dis 배열에 있는 값이 해당 노드까지의 거리보다 큰 경우
// ex. 1번 노드에서 4번 노드까지의 거리는 `4 + 5 = 9`가 된다.
if (dis[o.vex] > cc + o.cost) {
// dis 배열에서 해당 노드의 인덱스 값을 갱신한다.
dis[o.vex] = cc + o.cost;
// pQ에 해당 노드의 정점과 비용을 넣고, 방문 체크된다.
pQ.offer(new Edge(o.vex, cc + o.cost));
}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ull;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그래프의 인접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정점이 갈 수 있는 노드들을 ArrayList로 표현했다.
// 아래 코드는 각 정점마다 new ArrayList<>()로 초기화 하였다.
// 1번 정점부터 시작하므로 n까지 루프를 돌아야한다.
graph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n; i++) {
graph.add(new ArrayList<>());
}
// dis 배열 역시 1번 인덱스부터 시작하므로 n+1만큼 크기를 선언한다.
dis = new int[n + 1];
// dis 배열을 모두 MAX값으로 초기화한다.
Arrays.fill(dis, Integer.MAX_VALUE);
// m번 만큼 돌아서 가중치 방향 그래프를 나타낸다.
for (int i = 0; i < m; i++) {
// a -> b 로 갈 수 있으며, 비용이 c 이다.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a 정점에서 b로 갈 수 있으며, c 비용이 든다.
// 이 부분이 이해가 안간다면 그래프의 인접리스트를 공부해야 한다.
graph.get(a).add(new Edge(b, c));
}
// 1번 정점부터 설정
solution(1);
// 1번 정점에서 각 정점들까지의 최단 거리를 출력한다.
// 갈 수 없는 경우에도 출력한다.
for (int i = 2; i <= n; i++) {
if (dis[i] != Integer.MAX_VALUE) {
System.out.println(i + " : " + dis[i]);
} else {
System.out.println(i + " : " + "갈 수 없어요 ㅠ..");
}
}
}
}
출력 결과
2 : 11
3 : 4
4 : 9
5 : 17
6 : 20
References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힙 정렬 (Heap Sort) (1) | 2024.02.14 |
---|---|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 (1) | 2024.02.09 |
삽입정렬 (Insertion Sort) (0) | 2024.02.07 |
선택정렬(Selection Sort) (1) | 2024.02.07 |
B Tree (2) | 2024.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