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무수히 많은 if else문 개선해보자.
이번에 회사에서 반복되는 if else문을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하여 개선하였습니다. 기존에 소스는 한 메서드에 대략 700줄을 차지 했는데 그렇게 차지한 이유는 무수히 많은 if else문 때문이었습니다. 메서드의 라인수가 700라인이나 되기 때문에 메서드의 역할을 파악하기가 힘들고, 유지보수하기가 굉장히 까다로워지기 때문에 개선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개선한 내용은 https://jessyt.tistory.com/47 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습니다.
추가로 아래 소스는 회사의 소스와는 무관합니다.
소스코드: https://github.com/azurealstn/blog-summary/tree/main/refactoring
기존 예제소스
기존 기능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 리포트의 서식(타입)에 따라 다른 데이터를 가져와야 한다.
- 가져온 데이터로 엑셀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 문제는 서식에 따라 다른 데이터를 가져올 때 if else문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서드의 라인수가 굉장히 길어졌다.
이제 아래 예제소스를 보자.
ConsultingReportService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ConsultingReportService {
private final ConsultingReportRepository consultingReportRepository;
public String getConsultingReportListExcel(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
ConsultingReportDto typeDto = consultingReportRepository.findById(1L);
String fxdForm = typeDto.getFxdForm();
if ("consultingReportType01".equals(fxdForm)) {
log.info("많은 로직이 있다고 가정");
return "Type1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else if ("consultingReportType02".equals(fxdForm)) {
log.info("많은 로직이 있다고 가정");
return "Type2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else if ("consultingReportType03".equals(fxdForm)) {
log.info("많은 로직이 있다고 가정");
return "Type3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return null;
}
}
리포트 서식(타입)에 따라 다른 로직을 수행하고 있다.
DB 저장되어 있는 fxdForm 값을 가져와서 그 타입에 따라 각각 다른 데이터를 리턴
위의 소스를 보면 if else문 안에 로직은 정말 많은 로직이 있다고 가정한다. (많은 로직이란 DB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어떤 DTO에 담고 그 DTO를 리턴하는 형태여야 하지만 그냥 String을 반환하도록 하였음.)
당장 2 ~ 3개면 많아보이지 않겠지만 6 ~ 7개면 말이 달라진다. 심지어 계속 늘어날 수 있기 떄문에 유지보수를 위해서도 반드시 개선해야 했다.
개선 코드
ConsultingReportType
인터페이스를 두고 구현체로 ConsultingReportType01
, ConsultingReportType02
, ConsultingReportType03
클래스를 생성하여 구현한다.
ConsultingReport
public interface ConsultingReport {
String process();
}
ConsultingReport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ConsultingReportService
클래스에서 사용했던 if else문 안에 로직을 process()
메서드에 구현할 것입니다.
ConsultingReportType01
@Slf4j
@Service
public class ConsultingReportType01 implements ConsultingReport {
@Override
public String process() {
log.info("많은 로직이 있다고 가정");
return "Type1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
ConsultingReportType02
@Slf4j
@Service
public class ConsultingReportType02 implements ConsultingReport {
@Override
public String process() {
log.info("많은 로직이 있다고 가정");
return "Type2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
ConsultingReportType03
@Slf4j
@Service
public class ConsultingReportType03 implements ConsultingReport {
@Override
public String process() {
log.info("많은 로직이 있다고 가정");
return "Type3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
ConsultingRepor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를 만들어 process()
메서드를 위와 같이 작성한다.
ConsultingReportFactory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ConsultingReportFactory {
private final String CONSULTING_REPORT_TYPE_01 = "consultingReportType01";
private final String CONSULTING_REPORT_TYPE_02 = "consultingReportType02";
private final String CONSULTING_REPORT_TYPE_03 = "consultingReportType03";
private final ConsultingReportType01 consultingReportType01;
private final ConsultingReportType02 consultingReportType02;
private final ConsultingReportType03 consultingReportType03;
private final ConsultingReportRepository consultingReportRepository;
public ConsultingReport getConsultingReport(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
ConsultingReport consultingReport = null;
ConsultingReportDto typeDto = consultingReportRepository.findById(consultingReportDto.getId());
String fxdForm = typeDto.getFxdForm();
if (CONSULTING_REPORT_TYPE_01.equals(fxdForm)) {
consultingReport = consultingReportType01;
} else if (CONSULTING_REPORT_TYPE_02.equals(fxdForm)) {
consultingReport = consultingReportType02;
} else if (CONSULTING_REPORT_TYPE_03.equals(fxdForm)) {
consultingReport = consultingReportType03;
}
return consultingReport;
}
}
중요한 로직을 담당하는 ConsultingReportFactory
클래스이다.ConsultingReportFactory
클래스의 역할은 분기문 처리를 대신 해주는 역할을 해준다.
즉, ConsultingReportFactory
클래스를 따로 만들어서 비즈니스 로직의 복잡도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서비스단에서는 ConsultingReportFactory
클래스를 가져다 쓰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서비스단에서는 코드가 확 줄어든다.
위와 같은 디자인 패턴을 팩토리 패턴이라고 한다.
ConsultingReportServiceV2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ConsultingReportServiceV2 {
private final ConsultingReportFactory consultingReportFactory;
public String getConsultingReportListExcel(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
ConsultingReport consultingReport = consultingReportFactory.getConsultingReport(consultingReportDto);
return consultingReport.process();
}
}
변경된 ConsultingReportServiceV2
클래스를 보면 ConsultingReportFactory
클래스를 의존성 받고 있고, 로직 부분에서는 코드가 확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즉, ConsultingReportFactory 클래스에 분기를 판단하는 파라미터를 넘겨서 관련 데이터를 리턴받는다.
테스트코드
마지막으로 테스트코드를 작성해 값을 검증해본다.
@SpringBootTest
class ConsultingReportServiceV2Test {
@Autowired
private ConsultingReportServiceV2 consultingReportServiceV2;
@Autowired
private ConsultingReportRepository consultingReportRepository;
@Test
@DisplayName("Factory를 이용한 분기문 처리 Type1")
void consultingReportType01() {
//given
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 new ConsultingReportDto(1L, "consultingReportType01");
consultingReportRepository.save(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findConsultingReportDto = consultingReportRepository.findById(1L);
//when
String result = consultingReportServiceV2.getConsultingReportListExcel(findConsultingReportDto);
//then
assertThat(result).isEqualTo("Type1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Test
@DisplayName("Factory를 이용한 분기문 처리 Type2")
void consultingReportType02() {
//given
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 new ConsultingReportDto(1L, "consultingReportType02");
consultingReportRepository.save(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findConsultingReportDto = consultingReportRepository.findById(1L);
//when
String result = consultingReportServiceV2.getConsultingReportListExcel(findConsultingReportDto);
//then
assertThat(result).isEqualTo("Type2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Test
@DisplayName("Factory를 이용한 분기문 처리 Type3")
void consultingReportType03() {
//given
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 new ConsultingReportDto(1L, "consultingReportType03");
consultingReportRepository.save(consultingReportDto);
ConsultingReportDto findConsultingReportDto = consultingReportRepository.findById(1L);
//when
String result = consultingReportServiceV2.getConsultingReportListExcel(findConsultingReportDto);
//then
assertThat(result).isEqualTo("Type3 엑셀 정보를 가져온다.");
}
}
마지막으로 테스트코드를 통해 각각 다른 데이터가 리턴된 것을 확인하 수 있었다.
이것으로 한 메서드에 700라인 정도 되는 코드양을 확 줄일 수 있었다. 이제는 리포트 서식이 추가될 때마다 ConsultingRepor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를 만들어나가면 된다.
Reference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ing vs StringBuilder vs StringBuffer (0) | 2023.03.15 |
---|---|
JVM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0) | 2022.07.12 |
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0) | 2022.04.16 |
HashTable VS HashMap VS ConcurrentHashMap (0) | 2022.04.16 |
[자바 라이브 스터디] 15. 람다식 (0) | 2021.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