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표준, 웹 접근성, 크로스 브라우징 개념
웹 표준, 웹 접근성, 크로스 브라우징 개념 이번에는 웹 표준이 무엇인지, 생소한 단어 웹 접근성, 그리고 자주 듣는 크로스 브라우징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웹 표준 웹 표준이란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하는데 W3C의 토론을 통해 나온 권고안을 말하며, 권고안 이외 단계 수준의 스펙은 비표준이거나 독자확장 요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독자확장 요소란 웹 표준 요소가 아닌 IE에서 지원했던 marquee 요소와 bgsound 요소, netscape navigator에서 지원했던 layer 요소 등을 말한다. 웹 표준을 사용해야지만 다양한 브라우저(Chrome, Firefox, Edge, Opera..)에서 내가 의도한대로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하지만 IE에서는 웹..
2022. 6. 18.
null VS undefined
null VS undefined 비슷하면서도 비슷하지 않은(?) null과 undefined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null null은 변수 선언과 동시에 값(value)을 할당할 수가 있다. 즉, null은 값인데 존재하지 않는, 비어있는, 알 수 없는 값이다. 예를 들어, hello라는 변수에 아직 인사말을 못정해서 어떤 값을 할당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null을 넣어주면 된다. null의 타입은 object다. 타입은 object이지만 string, number, bigint, boolean, symbol, null, undefined는 모두 원시형 값이다. let hello = null; //변수 선언 console.log(hello); //null console.log(typeof hello)..
2022. 6. 13.